티스토리 뷰

텃밭으로 환경 살리기

1980년대 중반 20여 가구 남짓 사는 작은 마을이 있었다. 대부분 농사를 지었다. 마을 입구는 커다란 아까시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드리우고 있었고 야트막한 언덕에는 큼지막한 소나무들이 병풍처럼 자리잡고 있었다. 그 솔밭 그늘 밑에서 동네 아이들이 사방치기, 공기놀이, 고무줄 놀이, 나무타기 등을 하며 놀았다. 확자지껄 떠들며 노는 아이들 옆 볕 좋은 곳에 소 한마리가 매여 있다. 빈대떡 같은 똥을 한 무더기 싸 놓고 한가롭게 풀을 뜯으며 꼬리로 파리를 쫒던 모습이다. 멀리 방죽 너머 넓은 밭에는 머리에 수건 쓴 도엔 아주머니들이 밭매기가 한창이다. 봄에는 동네 사람 모두가 돌아가며 물을 대고 모내기를 함께하며 가을이면 또 한데 모여서 낫질을 해서 벼를 베고 말리며 가을 추수를 한다. 말린 콩대는 도리꺠질을 해서 콩을 털고 체로 쳐서 콩 거두기를 여러 날 하였다. 도리깨질은 제법 기술이 필요한 일이기도 해서 멀리 튀어간 콩알을 줍는 귀찮은 일은 모두 어린아이들의 몫이 되고 했다. 요즘 아이들에게도 그런 추억을 많이 남겨 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농사는 우리에게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길러 준다. 들로 산으로 놀러다니고 엄마 따라 나물도 뜯고 농사를 거들며 재밌기도 하고 귀찮기도 했던 그런 경험들은 삶을 살아가는 데 큰 힘이 된다. 이것이야 말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교육이다. 인간과 자연이 어울려 살아가는 모습, 그 모습을 자연스럽게 내 몸에 받아들이는 일, 도시 농업에서도 가능하지 않을까.

 

퇴비 만들기

예전에는 볏짚이나 콩대 같은 걸 태워서 불을 땠다. 그러면 회색 혹은 하얀 재가 남는데 이걸 식혀서 채소 껍질, 과일 껍질, 개똥 등과 섞어서 퇴비를 만들었다. 지금은 먹고 남은 음식을 퇴비로 만드는 퇴비 통이라는 게 있다. 지그은 먹고 남은 음식을 퇴비로 만드는 퇴비 통이라는게 있었다. 퇴비 통은 고무통이나 스티로폼 상자를 이용한다. 상토, 부엽토 등을 이용하면 아파트 베란다 같은 곳에서도 퇴비를 만들 수 있다. 퇴비 통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서울시는 텃밭보급소 등 시민 단체들과함께 회전식 퇴비 통을 보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퇴비를 텃밭으로 톨려보내도록 지원하고 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다. 퇴비 통에 톱밥과 남은 음식물을 넣은 후 섞어주면 된다 낙엽도 훌륭한 퇴비로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의 강동구청에서는 가로수 낙엽을 모아 원통형 고체 덩어리 형태로 만들어 퇴비 재료로 공급하고 있다. 퇴비 통을 만들기 어렵다면 굳이 퇴비 통을 따로 만들어 쓰지 않아도 된다. 텃밭 한 쪽 구석에 음식물 쓰레기를 톱밥이나 낙엽, 왕겨 등과 고루 섞어 적절히 수분을 조절한 후 빗물이 들어가지 않게 덮어 주고 일주일마다 한 번 씩 뒤섞는 것을 한 달간 하면 된다. 3~4개월 정도 지나면 밭에 뿌릴 수 있다.

 

지렁이 키우기

지렁이는 훌륭한 농사꾼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농사에 보탬이 되는 유익한 생물이라는 뜻이다. 일부러 지렁이를 키우기도 한다. 맨땅에 별로 없는 도시에서는 비가 갠 후에나 지얼이를 볼 수 있다. 원래 흙에서 살아야 할 지렁이들이 비에 떠밀려 와 말라 가는 모습이 아타깝다. 촉촉한 흙이 있는 곳으로 옮겨주고 싶은 마음도 든다. 지렁이는 토양 환경이 지표 생물이면서 흙을 일구는 농부이다.

지렁이

지렁이가 사는 땅은 비옥하다. 지렁이가 땅속에 숨구멍을 만든다. 또한 지렁이는 식물 생장에 큰 도움을 준다. 유기 농업에서는 일부허 지렁이를 키우고 그 똥이 섞인 분변토를 농사에 이용하기도 한다. 지렁이는 흔한 생물이다. 화학 비료와 화학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밭에서는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다. 다연 그대로 두면 지렁이가 땅을 비옥하게 하고 작물을 잘 자라게 도와준다. 음식물 찌꺼기를 퇴비로 만들어 주기도 한다. 상자에 흙을 담아 그 안에 지렁이를 키우면서 음식물 찌꺼기를 먹이로 주면 알아서 처리해 준다. 지렁이가 좋아하는 먹이는 채소, 과일, 밥 등 우리가 먹는 음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딱딱하고 기름기가 많은 것과 소금기가 있는 음식만 피하면 된다. 음식물 찌꺼기를 먹은 지렁이가 분변토를 내놓고, 이걸 텃밭에 뿌리면 훌륭한 거름이 되는 것이다.

 

쌀뜰물 사용하기

오늘날 도시 대부분의 주거지에는 상하수도 시설이 갖춰져 있다. 예전처럼 우물에서 물을 퍼 오고 냇가에서 빨래하는 일은 찾아보기 어렵다. 편리해진 만큼 자원의 낭비도 심해졌다. 일상에서 쓰고 버리는 물이 너무 많아졌다. 이것도 도시 농사를 통해 바꿀 수 있다. 가장 좋은 예가 쌀뜰물이라고 생각한다. 하루 세 끼 밥을 하면서 쌀을 씻고 남은 물을 버리게 된다. 그런데 이 쌀뜰물이 아주 좋은 퇴비가 된다. 쌀뜨물에는 인산이라는 양분이 들어있다. 이는 식물의 열매를 잘 맺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걸 모아서 퇴비로 주면 좋은 영양을 준다. 또한 쌀뜨물에는 전분이 있어서 기름기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설거지를 할 때 이용하면 좋다. 일일이 모아두는 게 번거롭기는 하지만 한두 번 하다 보면 익숙해진다. 예전에는 물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재활용하는 게 당연한 일이었다. 가축에게는 쌀뜨물이나 식재료 씻은 물을 주기도 했다. 그리고 화단이나 밭에도 뿌렸다. 본격적으로 도시화가 시작된다. 이후에는 보기 어려운 풍경이지만 조금만 노력하면 지금도 실천할 수 있는 일이 적지 않다.

 

이상으로 텃밭으로 환경을 살리는 방법으로 퇴비만들기, 지렁이 키우기, 쌀뜰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연에서 자연을 이용하여 자연을 살리는 일은 참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