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물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지구상 곳곳에 생명이 없는 곳은 없습니다. 하다못해 박테리아라도 살아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심해의 열수분출구에서 살아가는 박테리아가 발견되어 생명의 생명성에 대한 찬사를 다시 쓰게 만들었습니다. 지구상에는 오로지 인간의 눈으로 볼 때 불모지가 있고 척박한 곳이 있을 뿐입니다. 지구에서 생물들이 살아가는 권역을 생물권이라 합니다. 생물권은 수관, 지권, 대기권 등과 생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육상생태계
육상 생태계는 흔히 기후에 따라 세계 식생대를 구분합니다. 기온과 강수량은 주로 위도와 고도에 영향을 받으며 인위적인 조절이 어려운 환경들이고, 토양형과 바람의 영향에 의해서도 종의 분포가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윤상 생태계는 기후조건과 대표적인 식생의 생장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생물군계로 구분됩니다.
툰두라지역 : 냉대 산성 북방 습원
타이가 지역 상록침엽수림
온대낙엽수림 : 낙엽활엽수림
온대강우림 : 상록침엽수림
온대초원 : 스텝, 프레리, 팜파스
열대초원 : 사바나
열대우림 : 상록활엽수림
열대계절림 : 임관의 높이가 비교적 낮은 상록활엽수림
사막 : 다육식물
채퍼럴 : 관목과 왜성수목
수생태계
수 생태계는 토양 대신 물이라는 기질을 갖는다는 점에서 육상 생태계와 구분됩니다. 물론 수 생태계의 기저에도 지각이 존재하지만, 생물들의 특성을 결정짓는 역할을 하는 것은 역시 물입니다. 수 생태계는 담수와 해수로 구분되며, 각각의 수 생태계는 해류, 염유 농도, 수심, 수온, 빛의 강도와 입사광 파장의 특징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습지 : 해양습지, 범람지습지, 소택지, 늪지
담수 생태계 : 유수 생태계, 정수 생태계
해양 생태계 : 바위해안, 모래해안, 개펄해안, 대륙붕, 심해, 표영환경, 하구역과 기수역
미시적인 기후조건과 숲 생태계
그런데 숲이라는 한정된 생태계를 두고 보면, 대체로 생물들이 미시적인 기후조건에 더 많이 반응합니다. 다시 말하면 대부분의 생물은 궁극적으로 미기후에 의해 그 분포가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온대림을 구성하는 식생형을 낙엽활엽수림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와 같은 중위도 지역의 표징종을 참나무나 너도밤나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숲에서 자라는 식물만도 수천 종을 헤아립니다. 너도밤나무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ㅇ노대지표종이지만, 우리나라 내륙의 경우는 건조한 겨울철 기후 때문에 너도밤나무의 생육이 제한되고 대신 겨울철에 눈이 많이 오는 울릉도 지역에서만 분포합니다. 이처럼 숲 생태계의 구체적인 종 분포는 사소한 기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도나 요철지형, 경사, 등에 따라 부분적인 미기후가 발생합니다. 이 중 북반구의 숲에서 가장 중요한 미기후 발생 요인은 사면의 방향 즉 방위입니다. 사면의 방향에 따라 토양 온도, 증발량 등에 차이가 납니다. 북반구의 남사면은 해를 가장 많이 받는 곳입니다. 그리하여 남사면의 능선부에서 북사면의 식생뿐 아니라 다양한 고충을 포함아는 동물상의 분포 패턴을 결정합니다.
서식지와 지위
생물은 어디서 무억을 먹고 어떤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가, 이것이야말로 재미있는 남의 이야기가 아닐까요. 미리 말하지만 생물들의 살아가는 이야기는 우리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특히 많은 생물종과 환경이 서로 얽혀 만들어 내는 생태계는 경이로움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이로움보다 한 수 높은 것이 아름다운입니다. 궁극적으로 아름다운 관계, 그것이 생태계적 관계입니다.
생물들은 어디서 살고 있는가, 생물 활동에는 정주하는 장소와 먹이를 공급하는 장소가 필요합니다. 식물의 경우는 대체로 정주하는 곳이 바로 먹을 것을 만들어 내는 곳입니다. 많은 동물들은 정주하는 곳과 사냥하는 곳이 서로 다르거나 중첩됩니다. 일차적으로 생물들이 살아가는 장소의 개념은 서식시입니다. 좀 더 생태적으로 표현하면 서식지는 종의 일차적인 분포지 또는 물리적인 장소입니다. 서식지와 결코 대립하지 않지만 서로 구분되기 어려운 지점을 갖는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지위가 있습니다. 지위란 생물종들의 생태적 관계 속에서의 역할이라고 단순하게 정의할 수 있는데, 지위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현대에 와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종종 지위는 서식지와는 구분되는 종들의 기능적 역할에 대한 것으로 말해지며, 지위에 대해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할수록 서식지 개념은 단순해집니다.
'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의 길드와 생물들의 관계 (0) | 2020.05.13 |
---|---|
생태계 서식지와 길드 (0) | 2020.05.12 |
숲의 천이 3가지 (0) | 2020.05.10 |
생태계 숲틈의 발생과 식생 (0) | 2020.05.09 |
생태계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0) | 2020.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