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숲의 천이 3가지

.,..,. 2020. 5. 10. 05:35

일반적인 숲의 천이 계열에서 벗어나는 다양한 생태계 유형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것 자체가 숲의 천이 내지 발달의 특수한 과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1. 유칼리툽스 숲

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유칼리툽스나무는 코알라의 먹이로 유명하지만 막상 현지의 수 관리자들에게는 산불로 더욱 유명합니다. 유칼리툽스나무의 잎조직은 지질의 함량이 매우 높습니다. 유칼리툽스나무가 성장하면서 숲 공간이 메워지고 나무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줄기가 겹치면 이파리들이 서로 부딪히게 됩니다. 이 때 높은 지질함량으로 인해 잎이 부딕힐 때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산불이 발생하며, 다 자란 나무는 불에 타고 임상에 떨어져 있던 씨앗이 발아하거나 어린 유칼리툽스나무들이 새롭게 자라기 시작합니다. 결국 이 일대의 숲은 유칼리툽스 숲으로 유지됩니다.

2. 조릿대 임분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산림에서 조릿대가 하츨에 우점하는 식생 유형을 보이는데, 이는 숲의 천연갱신에 부정적인 것으로 받아집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조릿대만의 순림이 없으며 궁극적으로 졸참나무나 신갈나무, 서어나무와 같은 수종들의 하층 식생으로만 존재하기 때문에, 조릿대가 숲의 발달에 기여하는 특이한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밀집된 조릿대류의 수관은 상층으로부터 떨어지는 종자의 침투를 어렵게하며, 침투한 종자라 할지라도 조릿대류로부터 분비되는 타감물질들에 발달하며, 침투한 종자라 할지라도 조릿대류로부터 분비되는 타감물질들에 발아가 억제됩니다.

상층목의 후대목이나 다른 관목의 치수들은 조릿대류의 빽빽한 수관에 가려 제대로 생장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그러나 개벌이나 산불과 같은 교란 후 조릿대의 신속한 확산은 상승 식생 제거로 인해  발생하는 임분내 물질생산량 감소를 보상하고, 양료들의 용탈을 억제하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숲이 어느 정도 안정되면서 조릿대의 부분적인 고사로 인해 숲틈이 생기고, 조릿대 낙엽으로 인해 질 좋은 토양 상태는 숲의 주요 수종들의 침입과 발생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교목성 수종이 자라게 됩니다. 결국 임분 발달에 대한 조릿대의 영향은 임분의 기형적 발달의 유도하거나 자연스런 임분 달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기보다는 식생 발달 초기 단계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으나, 천이 후기종의 발달을 유도함으로써 임분 발달단계를 간소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3. 참나무 숲

숲의 발달이나 식물의 생존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종자의 이동 방법입니다. 소나무가 햇빛이 풍부한 개활지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가볍고 작은 씨앗이 유리합니다. 반면 이미 숲이 진행 중인 그늘진 환경에서 싹을 내기 위해서는 종자의 크기가 커야 하며 확실한 이동 방법이 필요합니다. 도토리는 그런 의미에서 가장 이상적인 존재입니다. 따라서 참나무가 숲을 만들어 가는 전략에서 반드시 종자의 이동과 발아, 성장 과정이 설명되어야 합니다. 참나무의 열매이자 씨앗인 도토리는 무겁고 커서 바람을 타고 멀리 이동할 수 없습니다. 대신에 도토리를 먹이로 삼는 다람쥐나 새와 같은 동물들이 월동식량을 저장하기 위해 숲 여기저기에 도토리를 묻어두는데, 이런 열매들이 봄이 되어 싹을 내면서 참나무의 이동을 대신하게 됩니다. 땅속에 묻히 종자는 다른 동물들로부터의 위험을 피할 수 있으며, 발아 후 어린 뿌리가 곧바로 흙 속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린 참나무가 크게 자라는데 가장 중요한 조건은 빞과 토양수분입니다. 토도리에 많이 저장된 양분은 발아 후에 부족한 환경에서도 오랫동안 견디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 깊게 내리는 뿌리는 흙 속의 물기를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참나무는 어느 정도 자라면 뚜렷한 중심줄기가 없어지고 가지들이 사망으로 발달하여 나무의 전체적인 모양은 둥근 원형을 이룹니다. 이는 참나무가 다양한 각도에서 빛을 받기 위해 몸을 만든 결과입니다. 처음 숲이 만들어질 때는 햇빛은 무한이 들어옵니다. 소나무는 빛을 좋아해서 오로지 빛을 많이 받기 위해 중심줄기를 높이 키웁니다. 반면 참나무류는 사방으로 뻗는가지와 넓은 잎과 가지가 무성해져 숲의 공간을 가득 메우게 되면 빛을 많이 필요로 하는 소나무는 참나무에게 숲의 자리를 내주게 됩니다. 그리고 숲은 참나무 숲으로 바뀌게 됩니다. 특히 참나무는 가지가 잘린 곳에서 움이 잘 돋아나는데, 일단 참나무가 자라던 숲에 산불이 나거나 버래를 하게 되면 재빠르게 돋아나는 움에 의해 참나무가 무성한 숲을 이루게 됩니다. 아주 강력한 생물학적 유산인 셈입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 서식지와 길드  (0) 2020.05.12
생물 생태계와 서식지  (0) 2020.05.11
생태계 숲틈의 발생과 식생  (0) 2020.05.09
생태계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0) 2020.05.08
산불로 인한 생태계 교란  (0) 2020.05.07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