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숲틈의 발생
소규모적인 교란에 의해 수관층을 이루는 나무들이 넘어지면 임상에 틈 또는 구멍이 생겨 햇빛이 임상에까지 들어오게 됩니다. 산림 생태계에서 이러한 숲틈의 크기나 구조는 산림 식생 군집의 구조에 영향을 미칩니다. 교란에 의해 숲의 임관에 틈이 생기면, 일차적으로 밀폐된 수관에 의해 차단되던 광이 임상으로 도달하여 하층의 식생에 재빠른 생장을 유도해 군집의 양상을 변화시킵니다. 이는 밀폐된 수관 하부에서 느린 생장을 하고 있던 내음성 수종들이 급작스헌 성장을 하거나, 광조건이 호전됨으로 인해 토양 속에 묻혀 있던 종자가 발아하거나 맹아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나무가 쓰러짐으로 인해 생긴 공간은 새로운 종의 침입을 가져옵니다. 숲틈으로의 새로운 종의 침입은 종자의 비산 거리, 전파속도 미 종자 발아 요건 등이 관련되며, 때에 따라서는 식물의 맹아발생과 같은 무성생식에 의해 결정되기도 합니다. 참나무와 같이 종자가 큰 식물은 종자 속에 저장양분이 많고 두꺼운 낙엽충이 덮여 있는 토양에서도 잘 정착할 수 있기 떄문입니다. 반면 종자가 작은, 특히 바람에 의해 종자가 전파되는 식물은 새로이 형성된 숲틈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며, 닫힌 수관층 아래서는 정착하거나 생존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숲틈에 의한 산림 식생 군집의 변화는 틈의 크기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데, 일반적인 숲틈의 크기는 수십에서 수백 제곱미터입니다.
숲틈에 의한 산림 내 환경 변화
산임 내 틈이 발생하면 가장 직접적으로 광조건이 변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틈에서의 열린 수관은 5~6년니 지나면 대부분이 닫히게 됩니다. 특히 바람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수목이 넘어진 경우는 토양의 미소환경 구조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목이 넘어지는 모습은 두 가지 입니다. 하나는 뿌리가 임상 상층으로의 수직적인 힘에 의해 뽑혀 쓰러지면서 원래 뿌리가 있던 자리가 파헤쳐져서 새로운 구덩이를 만들고, 나무가 쓰러진 자리는 요철형 둔덕을 만드는 경우입니다. 이에 의해 표토와 심토가 섞이게 되며, 새로 생긴 구덩이에는 낙엽물질이나 유기물이 쌓이게 됩니다. 새로이 생성된 구덩이와 둔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양 발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오랜 둔덕의 경우는 구덩이에 비해 유기물질이나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염류, 수분, 토양산도가 낮습니다. 이것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둔덕의 물질들이 배수의 영향을 받아 구덩이로 씻겨 오기 때문에, 이러한 소규모적이지만 토양의 국소적인 성질 변화는 식생구조 발달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특히 이는 침엽수림에서 일어나느가 혹은 활엽수림에서 일어나는가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초기 구덩이에는 초본성 식물들이 우세하나 구덩이가 메워짐에 따라 사라지게 됩니다. 수목이 넘어지는 다른 형태는 나무의 뿌리가 구덩이에 그대로 남겨진 채줄기가 땅 위로 쓰러지는 경우인데, 이것 역시 둔덕과 구덩이가 생기게 되나 전자에 비해 소규모이며, 표토가 아무런 교란을 받지 않습니다.
숲틈 복구
숲틈의 규모가 크든 작든 이것은 새로운 식생의 천이를 유도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틈 상태에서 교체 혹은 틈 상태의 발달이라고 하며, 이떄의 종을 틈 상태에서의 교체종이라 합니다. 숲틈이 메워지는 과정은 주로 새로운 수관층이 형성되거나 기존 식생의 수관층에 의해 진행됩니다. 새로운 수관을 형성하는 양식은 수종들의 특성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숲틈 식생
틈이 생겼을 떄 침입하는 종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천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개척종과 성숙한 임분의 밀폐된 수관 아래서 자라고 있는 음수들이 그것입니다. 이들이 나타나는 양상은 틈의 크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천이 개척종은 규모가 큰 틈을 요구하는 반면 음수들은 소규모적인 틈에서 우세하게 됩니다. 소규모적인 틈의 경우 우세목이 쓰러졌다 하더라도 수관이 완전하게 열리지 않고 부분적인 그늘이 져 천이 초기종의 종자가 발아하여 정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광조건이 양수인 천이 개척종에게는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틈에 의한 하층 식생의 성장은 틈 발생 후 5~6년 사이에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는데, 멀리서 종자가 비산되어와서 발아, 정착하기 전에 이미 기존의 내음성 하층 식생들이 틈을 점유하게 됩니다.
'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물 생태계와 서식지 (0) | 2020.05.11 |
---|---|
숲의 천이 3가지 (0) | 2020.05.10 |
생태계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0) | 2020.05.08 |
산불로 인한 생태계 교란 (0) | 2020.05.07 |
숲의 구조 (0) | 2020.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