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종묘의 뜻
식물번식의 시발점이 되는 종자와 모를 합하여 종묘라고 합니다. 번식에 쓰이는 줄기와 잎도 종묘에 포함됩니다.
종자의 분류
넓은 뜻의 종자는 영양체, 버섯의 종균을 모두 포함합니다. 또한 유성생식을 거친, 즉 수정에 의하여 밑씨가 발육한 것을 식물학상 종자라고 합니다. 아포믹시스에 의하여 형성된 종자도 식물학상 종자로 취급하며, 체세포배를 이용한 인공종자도 종자로 분류합니다.
1. 형태에 의한 구분
씨방벽이 발달하여 과피가 되고 이에 싸인 부분이 과실이 됩니다. 수정 후에 씨방과 그 관련기관이 비대한 것이 과실입니다. 주피가 발달하여 종피가 되고, 주심이 발달하여 내종피가 됩니다. 밑씨가 발달하여 종자가 됩니다.
식물학상 종자 : 두유, 유채, 담배, 아마, 목화, 참깨, 배추, 무, 토마토
식물학상 과실 : 밀, 옥수수, 메밀, 시금치, 벼, 겉보리, 귀리, 앵두
포자 : 버섯, 고사리
영양기관 : 감자, 고구마
2. 배유 유무에 의한 구분
배유종자 : 벼, 보리, 밀, 옥수수, 양파
무배유종자 : 콩, 팥, 완두, 상수, 오이
3. 저장물질에 의한 구분
전분종자 : 미곡, 맥류, 잡곡 등의 화곡류
지방종자 : 참깨, 들깨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의 분류
눈 : 마, 포도나무, 아삽
잎 : 베고니아
줄기 : 사탕수수, 포도나무, 생강, 돼지감자, 마늘, 박하
뿌리 : 닥나무, 고사리, 부추, 달리아
종자의 형태와 구조
외떡잎식물인 옥수수 종자의 구조를 보면 가장 바깥층은 과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에 배유와 배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주로 전분이 저장되어 있는 세포층이 배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배유에 영양분을 다량 저장하고 있는 종자를 배유종자라고 합니다. 성숙한 배는 중배축과 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배축에는 줄기, 잎, 및, 분화되어 있고, 배반은 배유조직과 접해 있으면서 배유의 여양분은 배축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상배축과 유근 및 근초를 포함한 부분을 배축이라 하며, 배축과 떡잎을 합하여 배라고 합니다. 배유는 3n이며, 지하자엽형 발아를 합니다. 쌍떡잎식물인 강낭콩의 종자는 배유조직이 완전히 또는 거의 퇴화되어 양분을 떡잎에 저장합니다. 강낭콩의 종자는 유아와 유근이 분화되어 있는 배, 영양분이 저장되어 있는 떡잎, 그리고 종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유가 없습니다. 이와 같이 배유가 없거나 퇴화되어 위축된 종자를 무배유종자라고 합니다. 쌍떡잎식물은 2개의 떡잎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 지상 자엽형 발아를 합니다. 그러나 완두와 잠두는 예외로 지하 자엽형 발아를 합니다. 비트는 주피조직의 일부인 주심을 발달하여 외배유를 형성하고, 여기에 영양분을 저장합니다. 바깥층에는 종피를 둘러싸여 있고 그 안쪽에 떡잎이 있으며, 그 안쪽에는 근초와 하배축, 유근이 있습니다. 상추는 과피와 종피의 안쪽에 배유층이 있고 똑바른 2개의 떡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2개의 떡잎과 하배축, 근초를 포함한 부분을 배라고 부릅니다. 상추 종자는 떡잎이 주요 양분저장기관이 됩니다. 덩이줄기와 덩이뿌리는 정부와 기부의 위치가 상반되어 있으며, 눈은 정부에 많고, 세력도 정부의 눈이 강한데, 이를 정아우세라고 합니다.
종자의 품질
1. 외적조건
전체 종자에 대한 순수종자의 중량비를 순도라고 하며, 순도가 높을수록 종자의 품질이 향상됩니다. 불순물에는 이형종자, 잡초, 협착물 등이 있습니다. 종자의 크기는 보통 1000립중 또는 100립중으로 표시하며 종자의 충실도는 비중 또는 1l중으로 나타냅니다. 종자는 크고 무거운 것이 충실하며, 발아 및 생육이 좋습니다. 품종 고유의 신선한 색택과 냄새를 가진 것이 건전하고 충실하며, 발아 및 생육이 양호합니다. 종자의 수분함량은 낮을수록 저장이 잘되고, 발아력이 오래 유지되며, 변질 및 부패의 우려가 적습니다. 오염, 변색, 변질이 없고, 탈곡 중의 기계적 손상이 없는 종자가 우량합니다.
2. 내적조건
종자는 우량품종에 속하고, 이형종자의 혼입이 없으며, 유전적으로 순수한 것이 좋습니다. 발아율이 높고, 발아가 빠르고 균일하며 초기신장성이 좋은 것이 우량한 종자입니다. 순활종자는 종자의 순도와 발아율에 의하여 결정됩니다. 감자의 바이러스병, 맥류의 깜부기병, 벼와 밀의 선충처럼 종자전염에 병충원을 지니지 않은 종자이어야 우량합니다. 특히 종자소독으로 방제할 수 없는 바이러스병은 종자의 품질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에서 화학적 농사 (0) | 2020.05.21 |
---|---|
식물을 이용한 코로나 백신생산 (0) | 2020.05.20 |
우리나라의 작부체계와 종류 4가지 (0) | 2020.05.18 |
윤작의 효과와 답전윤환, 혼파 (0) | 2020.05.17 |
연작과 윤작방법 4가지 (0) | 2020.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