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연작과 윤작방법 4가지

.,..,. 2020. 5. 16. 05:08

연작과 윤작 : 1) 연작과 기지

동일한 포장에 같은 종류의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는 것을 연작(이어짓기)라고 합니다. 연작을 할 때에는 작물의 생육이 뚜력하게 나빠지는 일이 있는데 이것을 기지라고 합니다. 수익성과 소요량이 크로 기지현상이 별로 없는 작물은 연작을 하는 것이 보통이며, 벼농사는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기지현상이 있더라도 채소처럼 수익성이 높은 작물은 기지대책을 세우고 연작을 하기도 합니다.

 

연작과 윤작 : 2) 작물의 종류와 기지

작물의 기지 정도

1. 연작의 해가 적은 작물 : 벼, 맥류, 옥수수, 고구마,, 양배추, 딸기, 미나리, 당근, 양파, 호박, 연순무, 뽕나무, 아스파라거스

2. 1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 : 쪽파, 시금치, 콩, 파, 생강

3. 2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 : 마, 감자, 잠두, 오이, 땅콩

4. 3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 : 쑥갓, 토란, 참외, 강낭콩

5. 5~7년 휴작이 필요한 작물 : 수박, 가지, 완두, 우엉, 고추, 토마토, 레드클로버, 사탕무

6. 10년 이상 휴작이 필요한 작물 : 아마, 인삼

과수의 기지 정도

1. 기지가 문제가 됨 : 복숭아나무, 무화과나무, 감귤류, 앵두나무

2. 기지가 나타는 정도 : 감나무

3. 기지가 문제가 아님 : 사과나무, 포도나무, 자두나무, 살구나무

연작과 윤작 : 3) 기지의 원인

연작을 하면 비료성분의 일방적 수탈이 이루어지기 쉽습니다. 앨팰퍼, 토란 등은 석회를 많이 흡수하여 그 결칩증을 나타내기 쉽습니다. 하우스재배의 다비연작은 작토층에 염류가 과잉 집적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화곡류와 같은 식용종자는 뿌리가 지표와 가깝기 때문에 연작을 하면 토양이 긴밀화해져서 물리성이 악화됩니다. 동일 작물을 연작할때에는 특정 잡초가 번성할 우려도 있습니다. 작물의 유체 또는 생체에서 나오는 물질이 동일종이나 유연종의 작물생육에 피해를 주는 일이 있는데, 연작을 하며 이 유독물질이 축적되어 기지현상을 일으킵니다. 유독물질이 유실되거나 분해되면 기지현상이 가십니다. 연작을 하면 토양선충이 번성하여 직접적으로 피해를 끼리며, 또 2차적으로 병균의 침입도 증가하게 되어 병해를 유발하여 기지의 원인이 됩니다. 밭벼, 두류, 감자, 인삼, 가지, 호박 등에서 연작에 의한 선충의 피해가 크게 나타납니다. 연작을 하면 토양 중의 특정 미생물이 번성하게 되며 그 중 병원균은 병해를 유발하여 기지의 원인이 됩니다. 토양 전염 병해릐 예에는 아마, 토마토, 사탕무, 인삼, 강낭콩, 수박, 완두, 백합, 목화등이 있습니다.

연작과 윤작 : 4) 기지의 대책

윤작을 하면 기지현상을 경감하거나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담수상태에서는 밭상태에 번성하는 성충과 토양미생물이 감소되며 유독물질의 용탈도 빠릅니다. 벼를 밭에 재배하면 곧 기지현상이 발생하지만, 논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토양선충이 기지의 원인일때 살선충제로 토양소독을 하고, 병원균에 대해서는 살균제로 토양소독을 합니다. 기지의 원인이 유독물질인 경유에 알코올, 계면활성제의 희석액이나 물을 넣어서 유독물질을 흘려보내기도 합니다. 기지성이 없는 새 흙으로 객토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포토, 수박, 멜론 등은 저항성 대목에 접목하면 기지현상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 지력저하가 원인이 되는 기지에 대해서는 심경, 퇴비다용, 결핌성분 및 미량요소의 시용 등으로 기지를 경감시킵니다.

 

연작과 윤작 : 5) 윤작

한 포장에 연작을 하지 않고 몇 가지 작물을 특정한 순서로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재배해 나가는 것을 윤작이라고 하며, 유럽에서 발달한 작부장식입니다.

 

1. 순 3포식 농업

순 3포식 농업은 포장을 3등분하여 경지의 2/3는 춘파곡물 또는 추파곡물을 재식하고 나머지 1/2은 휴한하는데, 장소를 돌려가며 실시하므로 전 포장이 3년에 한번 휴한하는 농업입니다. 이 방법은 초기에 지력유지책으로 실시되었습니다.

2. 개량 3포식 농업

3포식 농법의 휴한지에 클로버 등 콩과 녹비작물을 재배하여 지력증진을 도모하는 방식으로, 휴한을 하는 것보다 클로버와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지력유지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3. 노포크식 윤작법

17230년 영국의 노포크 지방의 윤작방식으로, 식량과 가축의 사료를 생산하면서 지력을 유지하고 중경효과까지 얻기 위하여 적합한 작물을 조합하여 재배하는 방식입니다.

4. 미국의 윤작법

미국에서도 각 지방의 실정에 알맞은 윤작망식이 발달되었습니다.

윤작방식은 지방 실정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되어 왔지만 윤작하는 작물에 따라서 주작물은 지역사정에 따라 선택해야하며 용도의 균형을 위해서는 주작물이 특수하더라도 식량과 사료의 생산이 병행되는 것이 좋습니다. 지력유지를 위해서 콩과작물이나 다비작물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토지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콩과작물이나 다비작물을 반드시 포함해야 합니다. 토양보호를 위해 피복작물이 포함되도록 해야 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