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태적 천이 특히 숲 천이가 발생하면 숲은 공간적으로 다양한 생물종으로 들어차면서 복잡해집니다.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은 생태계의 생산성과 안정성에 기여합니다. 숲은 수평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수직적으로 여러 층의 높이를 가집니다. 산림의 수평적 구조는 말 그대로 숲의 면적으로 표시되는데, 지면의 미세환경의 차이로 인한 수종 구성의 차이를 나타내게 됩니다. 경사나 향에 따른 빛 조건이나 수분조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식물종이 선택됩니다. 숲의 외곽에 생성된 식생 군집과 숲의 내부에 형성된 식생 군집이 서로 다르며, 능선부와 계곡부 등 숲 내 다양한 입지 특성에 따라 또한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갖는 종들로 구분됩니다.
한편 교란에 의해 공간적인 틈이 발생하고 이 공간을 식물들이 메우면서 서로 다른 수령을 가진 나무들이나 수종으로 구성된 조각을 갖게 됩니다. 또한 서로 다른 생육형의 식물들이 들어차면서 평면적으로 다양한 조각들로 구성됩니다. 숲은 수직적으로 복잡한 층을 이루게 되는데, 흔히 교목층, 아교목층, 관모긍, 초본층의 구조를 갖는다. 숲의 수직적 구조는 숲의 발달 단계와 깊은 관련이 있는데, 숲 발달 초기에는 단순한 층위의 숲이 발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생태적 특성을 가진 수목들로 들어차면서 여러 층위를 이루게 됩니다. 숲의 층위는 서로 다른 특히 빛에 대한 내성의 차이를 가지는 식물들에 의해 형성됩니다.
열매로 본 숲 구조
우리가 숲의 발달 단계를 논하고 나무마다 출현하는 시기를 논하지만, 숲은 언제나 복잡하고 배운 대로 보이지 않습니다. 도무지 설명하기 힘들고 막막한 곳이 또한 숲입니다. 그래서 생태학을 가리켜 설명하는 자의 자연철학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생물의 번식 전략은 천이 과정에 나타나는 천이 계열을 결정한다고 합니다.
1. 색
전자는 붉게 익고 후자는 갈색으로 익습니다. 녹음이 한창인 여름 숲에서 붉은색의 과육은 특히 새들에게는 물리칠 수 없는 유혹이 됩니다. 이때 잘 익은 열매가 짐승에게 먹히지 않는다면 땅으로 떨어져 열매는 곧 과육이 썩어버립니다. 시간적인 여유가 별로 없는 셈입니다. 그러니 빨간색으로 단시간에 유혹을 해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반면 갈색으로 익는 도토리는 가을 늦도록 눈에 드러나지 않습니다. 아주 느긋합니다.
2. 과육의 상태
전자는 부드럽고 맛난 과육을 가지나 후자는 딱딱한 껍질을 가집니다. 물렁하고 단물이 흐르는 과육은 짐승의 위장에서 재빨리 소화되고 열매속의 딱딱한 씨앗만 남습니다. 작은 짐승의 배 속에서 소화되지 못한 씨앗은 짐승의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물론 원래의 씨앗이 자라던 장소에서 멀리 떻어진 곳에서 입니다. 반면 도토리나 밤, 특히 호두같은 견과류는 작은이빨을 가진 짐승이 함부로 꺠어 물 수 없습니다.
3. 열매를 다는 나무의 모습
대부분 관목이 크게 자라지 않는 관목과 다르게 오래 살고 크게 자라는 나무들은 우리 땅에서 낮게 자라는 풀들은 이런 빨간 과육의 열매를 좀처럼 달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면 가까운 곳은 온갖 절지동물들의 온상입니다. 절지동물들은 몸 크기가 작아 일생동안 움직이는 공간적 범위가 나무의 품쯤 됩니다. 그러니 함부로 맛난 열매를 만들어 이들을 살찌울 일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너무 높은 곳의 큰 가지에 열매를 달면 큰 새들이나 먹을 수 있습니다. 숲에서 큰 새의 수나 종류는 그리 많지 않습니다. 또한 몸집이 큰 새들은 부리로 강해서 열매 속의 씨앗을 으깨어 버릴 정도 입니다. 그러니 적당한 높이로 자라야 땅 위의 작은 짐승들과 아주 높은 곳의 큰 짐승들을 피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도토리가 달리는 참나무들은 숲에서 가장 큰 키로 자랍니다. 높은 나무를 오르락내리락 거리는 짐승들이 가져갈 수 있고 큰 새들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 (0) | 2020.05.08 |
---|---|
산불로 인한 생태계 교란 (0) | 2020.05.07 |
생태계 - 생태적 천이 (2) (0) | 2020.05.06 |
생태계 - 생태적 천이 (1) (0) | 2020.05.05 |
생태계의 특성 <저항성과 회복성(2)> (0) | 2020.05.04 |